황희찬은 꼭 이 기술을 써야 했을까. ⓒ중계 방송화면 캡처

[스포츠니어스 | 김현회 기자] 중학교 체육 시간에 축구만 하면 레인보우 플릭, 흔히 말하는 사포를 하는 친구가 있었다. 공은 꽤 찼는데 누가 앞에만 있으면 꼭 사포를 하려고 했다. 물론 성공률은 극히 낮았다. 하지만 그 친구는 골을 넣는 것보다는 발 사이에 공을 끼고 상대 수비를 제치는 일을 더 즐겼다. 우리는 체육대회 축구 예선에서 그 친구와 약속을 했다. 경기 도중 절대 사포를 쓰지 않아야 끼워 주겠다는 것이었다. 물론 그 친구는 우리와의 약속을 지켰고 경기 도중 사포를 시도하지 않았다. 아직도 가끔 축구 개인기 하는 동영상을 보면 그 친구가 떠오른다.

꼭 그 기술이 필요했을까?

사포를 실제 축구에서 보는 건 쉽지 않다. 춤으로 치면 문워크 같은 거고 길거리 농구로 치면 덩크슛 같은 거다. 실제로 존재하긴 하는데 우리가 쉽게 실제 축구에선 볼 수 없는 개인기다. 동네 축구에서 개인기를 적당하게 잘 쓰는 친구들도 실전에서 쓰기란 어려운 기술이다. 동네 축구에서 가끔 이 기술을 잘못 쓰다가는 흔히 말하는 ‘역관광’을 당하거나 상대와 시비 붙기에 딱 좋다. 현란한 발재간을 자랑하는 세계적인 선수들도 경기 도중에 이 기술을 썼다가는 상대를 농락했다는 이유로 궁지에 몰릴 수도 있다. 실제 축구에서 쓰기도 어렵고 쓸 때도 위험부담이 따른다. 유럽 축구에서도 사포를 시도하는 순간 수비수가 그냥 공격수를 몸으로 밀어버리는 일도 잦다.

그런데 황희찬이 이 기술을 썼다. 그것도 유튜브 축구 레슨 영상이 아니라 실제 축구에서, 금메달을 따야 본전(?)인 아시안게임에서 이 개인기를 시도했다. 황희찬은 지난 20일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남자 축구 조별예선 E조 3차전 키르기스스탄과의 경기에서 사포를 시도했다가 실패했다. 황희찬은 후반 20분 상대 수비 진영에서 돌파를 시도하다가 드리블 탄력을 이용해 공을 위로 띄운 후 상대 수비수를 넘기려다가 실패하고 말았다. 가뜩이나 이번 대회에서 경기력이 좋지 않았던 황희찬이 과한 개인기를 시도했다는 비난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더군다나 한국은 키르기스스탄을 상대로 후반 20분까지 1-0으로 간신히 이기고 있었다. 여유있는 개인기를 할 상황이 아니었다. 황희찬은 비난 받고 있다. 여기에 더해 말레이시아와의 지난 2차전에서 황희찬이 상대와의 악수도 거부한 채 그라운드를 빠져 나갔다는 소식까지 접해지며 비난은 극에 달하고 있다. 팀 분위기도 어수선한 상황에서 현실성이 부족한 개인기를 시도했다는 것 자체는 당연히 지적받아야 한다.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사포라는 개인기는 상대를 존중하지 않는 도발적인 기술로 비춰질 때도 많다. 키르기스스탄을 상대로 이 기술을 쓸 경우 좋지 않은 이야기를 들을 가능성은 충분했다. 꼭 이 기술이 아니어도 돌파는 충분했다.

네이마르도 가끔 이 기술을 쓰다가 논란이 된다. ⓒ중계 방송 화면 캡처

사포도 축구 기술 중 하나지만…

사포라는 개인기 자체를 축구에서 금지할 수는 없다. 이 기술 시도 자체로도 선수를 비난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이런 화려하고도 위험한 기술을 시도하는 건 그 이후 실패 상황에 대해서도 비난을 감수할 각오가 돼 있어야 한다. 나는 황희찬을 사포 시도 자체로 비판하고 싶은 마음은 없다. 상대가 도발로 여길 수 있어도 그 순간 자신이 그 기술을 써 상대를 돌파해 낼 자신이 있으면 사포가 아니라 오포, 육포 다 써도 된다. 사포가 장기인 선수라면 상대와 일대일로 마주했을 때 헛다리 돌파가 아니라 사포로 상대를 뚫어도 된다. 논란이 일 수는 있어도 사포 역시 축구의 한 기술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제는 이 기술을 실패했을 때의 비난이다. 비슷한 맥락으로 파넨카킥을 떠올려보자. 지네딘 지단은 2006년 독일월드컵 결승전에서 파넨카킥으로 득점에 성공했다. 전세계인이 지켜보는 월드컵 결승 무대에서 대담하게도 공을 툭 골문 가운데로 찍어 차 득점하는 지단을 보며 경악했다. 나뿐 아니라 모든 이들이 그랬을 것이다. 이건 보통 강심장이 아니고서는 힘들다. 지단은 그래서 더 이 킥으로 찬사를 받았다. 아무나 다 할 수 있는 킥이었으면 이 정도로 회자되지는 않았을 것이다. 반대로 생각했을 때 그가 만약 이 파넨카킥을 실패했다면 어땠을까. 그냥 구석으로 강하게 차도 되는 상황에서 잔뜩 허세를 부렸다며 두고 두고 비난 받았을 것이다.

이처럼 화려하고 위험 부담이 큰 기술은 실패하면 당연히 엄청난 비난을 피할 수 없다. 그럼에도 이런 기술을 선택하는 이유는 하나다. 성공하면 안전한 플레이를 한 것 이상의 찬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단 실패했을 경우는 보통 먹을 욕 이상의 욕을 먹으면 된다. 사포건 파넨카킥이건 마찬가지다. 막히면 우리 팀 전체 분위기에 타격을 주고 개인적으로도 시도 자체로도 비난 받을 만한 기술이다. 그런데도 위험 부담을 안고 시도하는 건 성공했을 때의 희열을 위해서다. 어린 시절 씨름장에서 꼭 시키지도 않은 백덤블링을 하는 애들이 있었다. 다쳐도 누가 책임지지 않는다. 하고 싶어서 하는 건데 다치면 등짝 스매싱을 당할 일이다. 사포나 파넨카킥도 마찬가지다.

네이마르도 가끔 이 기술을 쓰다가 논란이 된다. ⓒ중계 방송 화면 캡처

사포와 파넨카킥,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일부에서는 사포가 경기를 이루는 하나의 기술이라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나 역시 상당 부분 동의한다. 하지만 그렇다면 왜 사포는 늘 상대적으로 강한 팀 선수가 이기고 있을 때 상대적으로 약한 팀 선수에게만 쓰이는지에 대해서도 한 번은 생각해 봐야 한다. 사포 기술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사포를 시도하는 선수가 상대에게 도발을 하려는 의도로 쓰이는 게 문제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사포는 문제가 없다. 명백히 잘하는 선수가 상대적으로 기량이 부족한 선수들에게 자기를 과시하려는 의도로 쓰이는 게 문제다. 반대 의견도 충분히 존중하지만 그러려면 황희찬이 상대적으로 기량이 부족한 키르기스스탄이 아니라 월드컵 독일과의 경기에서도 당당하게 사포를 시도했어야 한다. 과연 우리는 독일전에서 황희찬의 사포를 받아들일 수 있을까.

황희찬이 상대를 비하할 의도로 쓴 기술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다. 이건 어디까지나 추측이다. 추측으로 선수를 비난해서도 안 된다. 하지만 이 기술 하나로 충분히 그럴 의도가 보일 수 있음을 스스로 조심했어야 한다. 축구를 1~2년 한 선수가 아니니 누구보다도 본인이 잘 알 것이다. 아무리 경기 도중 쓸 수 있는 개인기라고 해도 실효성이 굉장히 떨어지는 기술을 쓰는 건 상대를 농락하는 걸로도 보일 수 있고 우리도 선수가 최선을 다하지 않는다는 걸로도 보일 수 있다. 물론 이건 어디까지나 내 생각이다. 오해이길 바란다. 황희찬이 그 순간 상대를 제압하는 가장 적절한 기술이 사포라고 판단하고 구사했다면 그 자체로도 존중 받아야 한다.

나는 아직도 사포라는 개인기를 누군가 이야기할 때면 중학교 시절 사포를 시도하던 그 친구와 함께 부산아이콘스에서 뛰던 하리가 생각난다. 내 친구가 동네 축구에서 사포를 할 때 하리는 유일하게 실제 어른들의 축구 경기에서 사포를 시도했던 선수였기 때문이다. K리그에서 하리 만큼 실력을 보여준 외국인 선수들은 많았지만 그래도 내가 하리를 기억하는 건 그가 실제 경기에서 보여준 사포 때문이었다. 같은 의미에서 파넨카킥을 고집하는 윤승원도 빼놓을 수 없다. 2016년 FA컵 결승 수원삼성과의 승부차기에서 파넨카킥으로 골을 성공시킨 윤승원은 이후 지난 1월 베트남과 2018 아시아축구연맹(AFC) U-23(23세 이하) 챔피언십 D조 1차전에서 선발로 나서 또 다시 파넨카킥을 시도했다가 실패했다.

네이마르도 가끔 이 기술을 쓰다가 논란이 된다. ⓒ중계 방송 화면 캡처

김학범호, 더 신중하고 성숙해지길

사포 이야기가 나오면 나는 여전히 하리를 떠올리고 파넨카킥이 언급될 때면 윤승원을 계속 생각할 것이다. 그만큼 이 두 기술은 성공해도, 실패해도 팬들의 뇌리에 남는다. 반대로 이야기하면 그만큼 성공하기 어려운 기술이기 때문이다. 모든 위험 부담을 감수하고도 시도해야 하는 기술이라 더 오래 회자된다. 동네 농구에서 레이업슛으로 안전하게 골을 넣어도 되는데 굳이 덩크슛을 시도하다 실패했다면 욕 먹는 것과 마찬가지다. 파넨카킥을 차고 골 넣으면 영웅이 되는 거고 실패하면 더 많은 욕을 먹는 거다. 단순하다. 뭐 파넨카킥이야 골키퍼와의 심리 경쟁을 무너트리는 측면이 있다고 봐도 되겠지만 사포는 사실 드리블 기술이라기 보다는 축구 묘기에 가깝다. 활용성 측면은 거의 없는 시각적 효과에 중점을 둔 묘기에 더 가깝다고 봐야한다.

간단하다. 황희찬이 처음부터 그런 도발적이고 위험한 기술을 안 했으면 된다. 늘 하던 것처럼 상대 수비를 앞에 두고 돌파를 시도하거나 패스를 했으면 충분했다. 그리고 그 다음, 황희찬이 정 사포를 하고 싶었으면 성공해야 했다. 공을 양 발 사이에 넣고 머리 위로 올리려는 순간부터는 실패하면 전국민에게 비난 받을 각오를 했어야 했다. 그러다 실패한 기술이니 비판 받아도 할 말은 없다. 왜? 굳이 쓰지 않아도 되는 기술이었지만 화려하고 멋진 기술을 성공했을 때의 찬사와 그 정도 비난에 대한 부담은 맞바꿀 수밖에 없다. 사포가 아니라 헛다리 개인기 정도 하다가 빼앗겼으면 황희찬에게 이 정도의 비난도 하지 않았을 것이다.

부디 이 비난이 선수의 자신감을 떨어트리는 일이 되지는 않았으면 한다. 하지만 굳이 쓰지 않아도 될 화려한 기술까지 써가며 경기를 그르치는 일도 없었으면 좋겠다. 더군다나 말레이시아에도 패하며 대표팀은 조1위에 오르지 못했다. 민감한 상황에서 성공해봐야 잠깐 이목이나 끌고 말 기술을 써야 할 이유는 없다. 황희찬을 비롯한 대표팀 선수들이 이 비난을 계기로 더 성숙해졌으면 한다. 플레이 하나 하나에 모든 이들이 관심을 끌고 지켜보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footballavenue@sports-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