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리그2 경기 후 기자회견에서는 이런 일이 자주 벌어진다. ⓒ스포츠니어스

[스포츠니어스 | 김현회 기자] 얼마 전 <스포츠니어스> 기자 한 명이 지방으로 취재를 간 적이 있다. 당시 이 팀은 경기가 제대로 풀리지 않아 졸전을 치르다 승리하지 못했다. 그런데 몇 분 뒤 현장으로 파견된 기자로부터 연락이 왔다. “A감독이 기분이 좋지 않아 기자회견을 하지 않겠다며 집에 갔습니다.” 대단히 난감한 일이었다. 경기 종료 후 예정됐던 감독 기자회견이 진행되지 않아 뉴스 편집을 준비하던 인력도 당황할 수밖에 없었다. 결국 비용과 시간, 노력을 들여 지방까지 갔음에도 감독의 말 한 마디 제대로 듣지 못하고 돌아와야 했다. 하지만 이 일은 알려지지 않았다. 그날 그 경기 취재진은 <스포츠니어스>가 유일했기 때문이다.

양 팀 감독의 ‘말’은 경기 후 ‘의무’다

이제라도 이 이야기를 꺼내는 건 ‘기레기’가 취재 협조를 하지 않는 대상에게 뿔이 나 하는 말이 아니다. 경기 후 양 팀 감독 기자회견은 프로축구연맹 규정에도 명시돼 있다. 프로축구연맹 정관 및 규정 제36조에는 “경기 종료 후 15분 이내에 공식 기자회견을 개최해야 한다”면서 “인터뷰를 실시하지 않거나 참가하지 않을 경우 해당 클럽과 선수, 감독에게 제재금(50만 원 이상)을 부과할 수 있다”고 명시했다. 이 감독은 이 규정을 지키지 않았다. 연맹 규정에는 “경기 후 미디어 부재로 공식기자회견을 개최하지 않은 경우 홈팀 홍보담당자는 양 클럽 감독의 코멘트를 경기 종료 1시간 이내에 각 언론사에 배포한다”는 규정까지 있다. 경기 후 양 팀 감독의 ‘말’은 팬들을 향한 의무다.

경기가 끝난 뒤 이 귀중한 시간을 내 취재진과 감독이 만난다. 황선홍 감독이 FC서울 시절 그 온갖 불편한 질문을 받아가며 “다음 경기에는 더 잘 하겠다”고 하는 건 이 규정을 준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성적 나쁜 감독이라면 이런 자리를 피하고 싶은 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인천유나이티드 이기형 감독도 퇴진 요구를 받으면서도 “오늘 야유가 어땠느냐”는 불편한 질문에 답한다. 공식적으로 취재진과 감독이 만나 이 대화 내용을 기록하고 팬들에게 알리는 건 프로로서 당연한 일이다. 경기는 90분 만에 끝날지 몰라도 경기 후에도 이뤄지는 일들은 대단히 많다. 취재를 가면 경기가 끝난 뒤에도 적어도 한 시간 반 이상은 현장에 남아 기자회견을 토대로 기사를 송고한다.

단순히 기자회견에 참석하지 않으면 제재금의 문제가 아니라 기자회견은 언론에 대고 팬들에게 대신 이야기를 전하는 자리다. 특정 개인 간의 만남이 아니라 공식적인 이야기를 공표하는 곳이다. 경기에서 이긴 감독과는 밝은 분위기 속에 이런 저런 농담도 오간다. 하지만 경기가 뜻대로 되지 않아 얼굴이 잔뜩 상기된 감독과 마주 앉아 “왜 오늘 경기는 부진했느냐”고 묻는 건 괴로운 일이다. 그래도 그게 우리가 해야 하는 일이다. 경기 후 양 팀 감독 기자회견은 가장 기본적인 취재다. 기자와 감독 단 둘이 앉아 있더라도 이건 단 둘의 만남이 아니다. 그래서 늘 <스포츠니어스> 기자들에게 “아무리 경기 내용이 재미없더라도 기자회견은 꼭 챙기자”고 한다.

FC안양 고정운 감독은 팀 분위기가 좋지 않아도 늘 취재에 성실히 대한다. 경기를 30분 앞두고도 규정에 따라 사전 인터뷰에 임하는 고정운 감독의 모습. (이 사진은 오늘 칼럼과 관련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스포츠니어스

“감기 걸려 인터뷰 못 한다”는 감독

결국 이날 기자회견은 한 쪽 감독 이야기만 나갔다. 멀리까지 가 고생한 기자는 한 쪽 감독 이야기는 들어보지도 못하고 돌아와야 했다. 이날 A감독에게 이런 저런 이야기를 묻기 위해 시간을 내고 비용을 들이고 공부해 간 기자는 헛걸음을 해야 했다. 기자회견을 거부하고 감독이 집으로 돌아가는 건 규정 위반이다. 이날 현장에 간 기자에게 이 보고를 받고 며칠 뒤 연맹 담당자에게 이야기를 전했다. 규정을 위반했으니 제재금을 부과하라는 게 아니라 “우리도 멀리까지 가 취재하고 있으니 적어도 이런 규정 위반 사례가 더는 나오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연맹으로부터 “이런 일이 없도록 하겠다”는 답변도 들었다.

그리고 며칠 뒤 이번에도 <스포츠니어스>가 다른 한 경기장으로 향했다. 이날 현장 취재 기자는 <스포츠니어스>를 포함해 딱 두 명이었다. 연맹 대회요강 제35조에는 경기 전에도 양 팀 감독과 선수의 인터뷰를 의무화 하고 있다. 이 규정을 보면 “양 클럽 선수단은 경기개시 90분~70분전까지 홈 클럽이 지정한 장소(락커 앞, 경기장 출입 통로, 그라운드 주변, 믹스드 존 등)에서 인터뷰에 응하여야 하며 양 클럽 홍보담당자는 미디어(취재기자에 한함)가 요청하는 선수가 인터뷰에 응할 수 있도록 협조한다. 양 클럽 감독은 경기개시 60분~20분전까지 미디어(취재기자에 한함)와 약식 인터뷰를 실시하여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경기 전 선수와 감독을 만나 이야기를 하는 건 경기를 앞둔 이들의 각오와 준비 과정을 듣기 위함이다. 빅클럽 경기에는 이 사전 기자회견에 기자들이 20~30명씩 몰려간다. 이 자리에서 오늘 준비한 전술과 전략을 이야기하고 각오를 말한다. 가벼운 농담이 오가기도 하고 때론 축구계 현안에 대한 질문이 나오면 그에 대한 답변도 이어진다. 이날 현장을 찾은 기자는 단 둘 뿐이었는데 다른 한 기자는 “사전 인터뷰는 생략하겠다”고 해 <스포츠니어스> 기자만이 감독실로 향했다. 하지만 구단 관계자는 “감독님께서 감기에 걸려 사전 인터뷰는 하지 않겠다는 말을 전했다”고 했다. 이것도 명백한 규정 위반이다. 결국 이 감독을 어르고 달래 사전 인터뷰를 진행했다.

FC안양 고정운 감독은 팀 분위기가 좋지 않아도 늘 취재에 성실히 대한다. 경기를 30분 앞두고도 규정에 따라 사전 인터뷰에 임하는 고정운 감독의 모습. (이 사진은 오늘 칼럼과 관련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스포츠니어스

우리 혼자 잘 해보겠다는 건가요?

경기를 앞두고 정말 감기에 걸렸는지 아니면 취재진을 만나는 규정이 싫었는지는 잘 모른다. 하지만 프로라면 당연히 지켜야 하는 규정을 이렇게 피하면 안 된다. 한 감독은 경기가 끝난 뒤 기자회견장에 앉았지만 그날 경기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서 “오늘은 별로 이야기하고 싶지 않다”며 그대로 자리를 뜬 적도 있다. 이건 기자회견에 응한 것도 아니고 불응한 것도 아니다. “노코멘트 하겠다”는 짧은 말을 남기고 자리를 뜬 감독을 보며 노트북에 아무 것도 적지 못했다. 어떻게든 뭐라도 쥐어 짜내 독자들에게 전하려고 스토리를 엮어 보려는 이들에게 너무하다 싶을 정도의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이거 우리 혼자 잘 해보려고 하는 일은 아니지 않나.

물론 대다수의 감독은 규정을 잘 지킨다. 감독들은 팀이 연패에 빠져 있어도 취재진을 만나면 최대한 협조하는 편이다. 올 시즌 한 번도 이기지 못한 FC안양 고정운 감독을 경기 전에 만나면 ‘자꾸 이렇게 찾아와도 되나’ 싶을 정도로 나 역시 미안한 마음이 든다. 그래도 고정운 감독은 “뭘 물어볼 게 있다고 자꾸 찾아와”라며 또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한다. 물론 대부분이 부상 선수가 많아 죽겠다는 앓는 소리지만 그래도 이런 소리라도 들어야 팬들에게 현재 상황을 전할 수 있다. 안산그리너스 이흥실 감독은 오히려 사전 인터뷰를 짧게 끝내려고 하면 “어제 대표팀 경기 봤어?”라며 현안을 이야기하기도 한다. 이렇게 미디어에 친근한 것까진 바라지 않는다. 다만 멀리까지 찾아온 단 한 명의 취재진을 거부하며 규정을 위반하는 일은 없었으면 한다.

규정상 “경기가 끝난 뒤에 감독 기자회견 뿐 아니라 미디어가 요청하는 선수도 기자회견에 참석할 수 있도록 협조해야 한다”는 조항도 있다. 하지만 이 수훈 선수 기자회견은 특별한 날이 아니면 잘 열리지 않는다. 슈퍼매치가 끝난 뒤 데얀 정도나 돼야 미디어의 요청으로 기자회견이 열린다. 편의상 양 팀 감독 기자회견이 마무리되면 취재진이 선수가 이동하는 통로에서 경기장을 빠져 나가는 선수를 기다리다 간이 인터뷰를 한다. 하지만 앞으로는 <스포츠니어스>가 관심이 적은 K리그2 경기가 끝난 뒤에도 규정이 명시된 것처럼 되도록 수훈 선수 기자회견을 공식적으로 요청할 생각이다. 취재진이 한둘 뿐이더라도 이렇게 공식 기자회견장에서 질문을 받고 관심을 받는 진짜 프로선수들이 더 늘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FC안양 고정운 감독은 팀 분위기가 좋지 않아도 늘 취재에 성실히 대한다. 경기를 30분 앞두고도 규정에 따라 사전 인터뷰에 임하는 고정운 감독의 모습. (이 사진은 오늘 칼럼과 관련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스포츠니어스

K리그 존재 이유, 다시 한 번 떠올렸으면

이런 생각을 갖게 된 건 얼마 전 한 K리그2 경기가 끝난 뒤 만난 홍보 담당자와의 대화 때문이었다. 이 팀은 미디어의 관심이 적고 취재진도 극히 적은 수만이 찾는다. 이 담당자는 이렇게 말했다. “몇 년 전 데뷔골을 넣은 선수가 있어요. 이날은 그래도 취재진이 꽤 온 편이라 생전 처음으로 이 선수가 경기 후 기자회견을 했습니다. 이 선수의 할아버지가 현장에 와 경기를 지켜보셨는데 ‘우리 손주가 골도 넣고 기자회견도 한다’며 대단히 자랑스럽게 생각하셨다고 하더라고요. 그 선수 정도 빼면 우리 팀에는 기자회견 자체를 경험해 본 선수들이 거의 없어요.” 비록 취재진 한 둘이 현장을 찾아 기자회견장에 앉아 있을지라도 자꾸 선수들에게 기자회견을 경험하고 미디어를 대하는 선수가 되도록 분위기를 만들고 싶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오늘 칼럼은 인터뷰 요청에 ‘까였다고’ 넋두리 하는 것도 아니고 독자들에게 일러바치는 것도 아니다. 연맹을 향해 “제재금을 부과해 달라”고 하고 싶은 마음도 없다. 하지만 가뜩이나 K리그가 언론의 관심이 부족한 상황에서 그나마 시간과 비용, 노력을 들이는 이들을 조금 더 생각해 줬으면 하는 마음이다. 프로라면 당연히 미디어를 만나야 한다. 프로라면 당연히 해야 할 일을 다시 한 번 강조하는 것도 씁쓸하지만 대체 왜 K리그가 존재하는지 다시 한 번 생각해 봤으면 한다. K리그는 저기 강원도 태백에서 관중도 없이 열리는 추계대학연맹전이 아니라는 걸 많은 이들이 다시 한 번 새겼으면 좋겠다.

footballavenue@sports-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