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호주 아시안컵 조추첨이 끝났다. 한국은 홈팀 호주와 오만, 쿠웨이트 등과 한 조에 속했다. 우리는 항상 ‘아시아의 맹주’라는 이야기를 스스로 해왔는데 55년 동안 아시안컵에서 우승 한 번 하지 못했다. 이건 마치 중학교 1학년 때 전교 3등 한 번 해놓고 서른이 훌쩍 넘은 지금까지도 ‘나는 참 공부를 잘했다’며 으쓱해하는 나와 다를 게 없다. 한국은 아시안컵에서의 한을 풀어야 진정한 ‘아시아의 맹주’가 될 수 있다. 조추첨이 끝난 뒤 벌써부터 여러 언론에서 이에 대한 분석을 하기 시작했다. 껄끄러운 조에 걸렸다고 걱정하는 이도 있고 비교적 어렵지 않은 조에 편성됐다고 내심 안도하는 이도 있다. 하지만 나는 아시안컵이라는 무대에서는 ‘죽음의 조’도, 그렇다고 흔히 말하는 ‘꿀조’도 없다고 생각한다. 아시안컵은 모두 다 우리가 이겨야 할 상대와의 대결일 뿐이다.

같은 조 호주도 한국이 부담스러운 건 마찬가지

지금 생각해보면 가장 한심했던 조 추첨 후 분석이 1998년 프랑스월드컵 때였다. 당시 멕시코, 네덜란드, 벨기에와 한 조에 속한 우리는 장밋빛 시나리오를 썼었다. 첫 경기에서 멕시코를 잡고 네덜란드전에서 힘을 아낀 뒤 1승 1패의 상황이 되면 마지막 벨기에와의 대결에서 총력을 다한다는 계획이었다. 물론 이 계획은 처음부터 틀어졌다. 멕시코에 패한 순간 모든 계획은 전면적인 수정이 필요했다. 애초에 멕시코를 당연히 잡는다는 계획도 확실하지 않았고 네덜란드전을 일찌감치 포기하겠다는 계획에도 문제가 있었다. 이런 대회에서 ‘누구는 잡고 누구는 거른다’는 건 그대로 되지도 않을뿐더러 진정한 도전자의 자세가 아니다. 나는 조 추첨이 끝나고 나서 이렇게 장밋빛 시나리오를 쓰는 게 참 싫다. 다 이기기 위해 싸워야지 포기할 경기가 어디있나. 질 걱정을 하고 전쟁에 나가는 장수는 없다.

하물며 고만고만한 팀들끼리 만나는 아시안컵은 더하다. 그 어떤 팀을 만나도 다 우리가 이겨야 할 상대다. 아시아 무대에서 월등한 강자도 없고 그렇다고 한참 수준이 떨어지는 팀도 없다. 아시안컵 본선 무대에 스페인이 나오는 것도 아니고 동티모르가 나오는 것도 아니다. 애초에 ‘죽음의 조’나 ‘꿀조’가 있을 수 없다는 말이다. 월드컵도 아니고 아시안컵이다. 멕시코와 네덜란드, 벨기에를 만나는 게 아니라 아무리 강한 상대여도 호주나 일본, 이란 등이다. 분석하고 자시고 할 것도 없이 다 이기면 된다. 우리의 목표는 아시안컵 우승이지 아시안컵 8강이나 4강 진출이 아니지 않은가. 호주나 이란, 일본을 만나도 이길 수 있는 게 아시안컵이고 바레인이나 북한을 만나도 질 수 있는 게 아시안컵이다. 한국이 어떤 팀과 한 조에 속했다고 해 벌써부터 걱정할 필요도 없고 낙관할 필요도 없다.

이번 아시안컵 조추첨 당시 2번 포트 중 한국의 공이 뽑혔을 때의 반응을 보면 참 재미있다. 다른 팀들이 호명될 때는 박수만이 터져 나왔지만 한국이 뽑히자 조추첨장에서는 웅성웅성거리는 소리가 여기저기에서 들려왔다. 우리가 상대를 부담스러워하는 것 이상으로 상대들 역시 가장 피하고 싶은 게 한국이다. 아무리 한국이 아시안컵에서 55년 동안 우승을 하지 못했다고 하더라도 누가 한국하고 만나고 싶어하겠나. 2번 시드에는 한국을 비롯해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 요르단이 속해 있었다. 말 그대로 한국이 걸린 조는 똥 밟은 것과 마찬가지다. 호주로서는 톱시드를 받아 놓고 한국과 한 조에 속하면서 톱시드의 이점이 없어진 셈이다. 톱시드 팀들이 같은 조에 한국을 원할까. 아니면 요르단을 원할까. 호주로서는 미팅에서 ‘쟤만 안 걸리면 돼’라고 생각했다가 폭탄과 커플이 된 셈이다.

우리의 FIFA 랭킹이 낮은 이유

일부에서는 한국이 톱시드에서 밀려난 것에 대해 큰 충격이라고 표현한다. 나 역시 우리가 그동안 소홀히 해온 FIFA 랭킹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의 FIFA 랭킹이 60위라는 건 자존심이 상하는 대목이다. 앞으로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FIFA 랭킹을 끌어 올려야 하는 건 당연하다. 하지만 우리는 여기까지만 생각하고 그 이면은 들여다보지 않는다. 한국은 최근 그리스와의 원정 평가전에서 승리를 거두는 등 나름대로 선전했지만 그럼에도 FIFA 랭킹이 이 모양 이 꼴인 이유에 대해서는 별로 따지지 않는다. 우리는 2번 시드인데 이란과 우즈베키스탄이 어떻게 톱시드를 부여 받았을까.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따져볼 필요가 있다. FIFA 랭킹에 대륙컵 예선, 즉 아시안컵 예선에 부과하는 가중치가 크게 반영됐기 때문이다. 이 부분을 이해해야 우리가 왜 이란과 우즈베키스탄에 밀려 아시안컵에서 2번 시드를 받았는지 설명이 된다.

결론적으로 말해 한국은 지난 2011 아시안컵에서 3위를 차지하며 이번 대회 자동 출전권을 얻었기 때문에 FIFA 랭킹을 쌓을 기회가 적었다. 한국이 월드컵 준비를 하며 멕시코, 미국, 코스타리카, 그리스 등과 평가전을 치렀지만 이런 친선경기는 가중치가 없다. 그런데 그 사이 이번 아시안컵 본선 자동 출전권을 따내지 못한 이란은 태국, 레바논, 쿠웨이트 등과 뼈빠지게 아시안컵 예선을 치렀다. 이 경기는 대륙컵 예선이라는 명목으로 가중치가 2.5배 더 붙는다. 물론 이게 끝이 아니라 상대팀 FIFA 랭킹까지 감안해 점수를 내지만 가중치에서 한국은 이란을 이길 수 없었다. 그리스를 원정에서 격파했어도 이란을 FIFA 랭킹에서 따라잡을 수 없는 이유다. 지난해 10월과 11월, 태국과 레바논을 만나 아시안컵 예선을 치렀던 이란은 올해 3월 쿠웨이트와도 아시안컵 예선을 치러 3-2로 승리를 거뒀다. 올해 딱 한 번 A매치를, 그것도 약체로 평가받는 쿠웨이트와 펼쳤지만 가중치를 부여받아 한국과 FIFA 랭킹 포인트를 확 벌렸다.

오히려 한국이 2011 아시안컵에서 3위 안에 들지 못해 이번에 예선을 거쳐야 했다면 아마 FIFA 랭킹은 더욱 올라갔을 것이다. 이란과 우즈베키스탄, 아랍에미리트 등이 가중치 2.5배의 값비싼 경기를 치르는 동안 우리는 아시안컵 예선을 자동으로 통과하고 월드컵을 맞아 가중치 없는 평가전을 치렀으니 그들과의 격차가 생기는 건 당연한 일이다. 참고로 아시안컵 본선은 3배의 가중치를 부여받고 월드컵 본선은 4배의 가중치가 있다. 앞서 말한 것처럼 우리의 FIFA 랭킹이 60위권이라는 건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고 이전에 점수를 많이 따지 못해 톱시드를 따내지 못한 건 반성해야 할 부분이지만 속내를 들여다보지 않고 단순히 한탄만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FIFA 랭킹은 앞으로 월드컵과 아시안컵을 겪으면서 좋은 성적을 통해 끌어 올리면 되고 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관리하면 된다. FIFA 랭킹이 낮아서 좋을 이유는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낮은 FIFA 랭킹으로 우리가 이번 아시안컵에서 2번 시드를 받아 굉장히 불리한 조건에 놓여 있다고 생각할 필요는 없다.

아시안컵에 ‘죽음의 조’나 ‘꿀조’는 없다

호주와 일본, 이란, 우즈베키스탄 등 이번 대회에서 톱시드를 받은 나라는 지난 2011년 아시안컵 당시 공교롭게도 모두 2번 시드였다. 당시 톱시드였던 한국은 2번 시드 호주와 한 조에 속했다. 이번에는 톱시드와 2번 시드라는 명함만 바꿔달고 한 조에 속한 거다. 호주가 홈팀이라는 이점이 있긴 하지만 호주를 피해 ‘영원한 맞수’ 일본이나 늘 우리를 괴롭히는 이란, 신흥 강호가 된 우즈베키스탄 등을 만났다면 그것도 ‘꿀조’라고 할 수도 없다. 이번 대회 2번 시드인 한국을 비롯해 아랍에미리트와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도 언제든 톱시드를 받아도 전혀 이상할 게 없는 팀이다. 톱시드와 2번 시드의 차이가 그만큼 극명하지 않다는 뜻이다. 누구와 만나도 다 거기서 거기다. 3,4번 시드팀도 그 어떤 팀을 만나도 우리가 다 이겨야 할 상대다.

우리가 늘 아시안컵 8강에서 지긋지긋하게 만났던 이란과 이번에는 8강에서 만나지 않는다. 누군가는 여기에도 큰 의미를 부여한다. 한국의 8강 상대는 우즈베키스탄과 사우디아라비아, 중국, 북한 등이 속한 B조 팀 중 하나다. 우리가 1위로 8강에 올라갈 경우 B조 2위와, 2위로 올라갈 경우 B조 1위와 8강에서 격돌한다. 하지만 결국 아시안컵 정상을 위해서는 4강과 결승에서 이란, 일본 등과 피할 수 없는 승부를 펼쳐야 한다. 어차피 이란이나 일본을 이번 대회에서 피하고 우승을 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이란을 8강에서 만나나 결승에서 만나나 한 번은 붙어야 한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단순하지만 끝까지 남는 팀이 우승하는 대회이고 여기에는 ‘죽음의 조’라는 재앙도, ‘꿀조’라는 요행도 없다. 톱시드 호주가 4번 시드 북한과 대결해서도 꼭 이기리라는 보장이 없는 게 바로 아시안컵이다.

우리가 마지막으로 아시안컵 결승에 진출한 것도 벌써 26년이 돼 간다. 한국은 1988년 대회 이후 결승 무대에 서 본 적이 없다. ‘아시아의 맹주’를 자처하지만 참 자존심이 상하는 일이다. 이쯤에서 한국은 아시안컵 우승을 통해 여전한 아시아의 강호라는 사실을 결과로 보여줄 필요가 있고 그렇다면 조편성에 일희일비하는 건 무의미하다. 톱시드를 부여받아서 이득 좀 보려고 했는데 2번 시드의 한국이 걸린 호주의 입장은 또 어떨까. 그냥 우리로서는 다른 것 생각하지 말고 다 이기면 된다. 이란과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바레인이 속한 C조나 ‘침대의 조’, ‘C몬스 조’일뿐 그 이상 이번 조편성에 색다를 건 전혀 없다. 조별예선에서 ‘홈팀’ 호주를 피하고 토너먼트에서 ‘난적’ 이란이나 일본까지 피해 아시안컵 우승 트로피를 가져올 확률은 얼마나 될까. 그런 일은 벌어지지 않는다. 애초에 아시안컵에 ‘죽음의 조’나 ‘꿀조’는 없다.